✅ 목표 (Goal)

사물인터넷(IoT)이란 Internet of Things의 약자로서 번역해 보면 "사물의 인터넷"정도가 되겠네요. 컴퓨터, 모바일 기기 뿐만아니라 가전제품, 자동차, 생활용품등 모든 사물(things)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혹은 시스템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형광등 혹은 보일러를 켜고 끄는 시스템도 IoT의 일종입니다.

image.png

[그림] IoT란? (이미지출처 불명 ㅜㅠ)

단순히 형광등을 켜고 끄는것 이외에 우리집 바깥의 날씨를 알수도 있고, 인터넷을 이용하면 미국에 있는 친구의 날씨를 알아낼수도 있으며, 자동차에 적용하는 스마트 키, 도어락 등등도 모두 IoT의 사례인데, 이러한 예는 너무 많아서 일일이 열거할수가 없을 정도예요

세상의 모든 IoT 제품을 적기는 불가능하니 아래의 링크를 통해 몇가지 IoT 제품을 구경해 봅시다.

다양한 IoT 관련 제품들 #1 원래 링크 없음

다양한 IoT 관련 제품들 #2

이러한 IoT 관련 제품을 구경하다 보면 "에게~ 뭐 이런 쓸데없는것까지 만드나" 혹은 "오호~ 참신한데?"하고 감탄사가 나오는 제품도 있을것입니다.

그러나, IoT는 단지 참신하고 재미있는 아이디어 상품 정도가 아닌 앞으로 필수 불가결한 기술이 될것입니다.

마치 100년전 세탁기, 냉장고가 첨단기술이었지만, 이제는 어느 가정에서도 사용하는 평범한 제품처럼 IoT 역시 이렇게 될것은 자명합니다.

선진국 및 국내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인식하여 IoT 관련 센서 기술, 시스템, 클라우드, 환경 구축을 위해 많은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한국도 이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IoT 관련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IoT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며, 현재의 IoT 기술 역시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IoT는 보안이 중요한 문제인데, 악의적인 해커가 우리집의 IoT에 침투하여 형광등을 켜고 끄거나, 전기요금 폭탄을 때리는 것은 봐줄만 하겠지만, 도어락에 침투하여 문을 연다거나, 가스 밸브를 열어놓는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oT는 미래 기술로서 필수 불가결하고.. 내용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