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C는 치킨, 햄버거, 감튀가 필요하다. 1번 라인을 보면 의존성(?)이 적혀있다. 아래 예제의 실행 순서는 어떻게 될까? 순서를 예측하고 실행해 보자.
치킨, 햄버거, 감튀, KFC 순서로 실행된다. KFC를 빼먹으면 안된다. KFC를 만들라고 치킨,햄버기,감튀가 필요한거라곳!
주의할점
쌍따옴표까지 그대로 치환된다. Chicken이 아닌 “Chicken” 이다. 매크로는 아무곳에나 놓을수 있지만, 가독성을 위해 최상단에 넣어주자. 거듭 말하지만 변수가 아니다. C언어의 #define처럼 치환될 뿐이다.
치환할 매크로가 없다면 공백으로 치환된다. 처음 글자에 #을 입력하면 주석 처리된다.